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로 인사드립니다.
(집을구하느라 너무 busy했습니다.)
20후반 첫 독립을 하게되었습니다.!!!!
저는 기존에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이 있다는것을 알고 독립을 마음먹었습니다.
마침 연봉, 재직중인 회사규모등 조건이 맞아 올해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첫번째
본인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가능 조건 확인
주택도시기금
http://nhuf.molit.go.kr/FP/FP05/FP0502/FP05020601.jsp
간략히 정리를 해보자면..
1) 본인의 연봉이 3,500만원이하(부부아닐경우)
2) 본인회사의 규모가 중소기업일경우
여기서 확인 > http://nhuf.molit.go.kr/FP/FP05/FP0502/FP05020604.jsp
3) 본인 주민등록등본상 무주택 세대주일경우
4) 본인 나이가 34세까지의 경우
이정도? 인것 같습니다.
두번째
집구하기!
저는 다른분들과 달리 가심사를 받지않고 회사경력도 4년이 넘었고
지금 다니는 회사도 1년이상되었고 위의 조건들을 다 만족했기에
여러 블로그 후기들을 찾아봐서 무조건 된다는 확신을 가지고 집을 보러다녔습니다.
먼저 처음은 우리에게 친숙한 직방, 다방을 이용해서 집을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혹시나가 역시나 매물번호를 남겨 문자를 보내면
"해당집은 없고 다른집은 보여줄 수 있다"라는 답변이 90%이상이었습니다.
다방, 직방은 왜 이런 허위매물을 차단안하는지.. 사용자의 유입이 줄면
자연스럽게 해당 프로그램들도 매출에 영향이 있을텐데...아쉽습니다.
두번째로 네이버 부동산을 이용했습니다.
그나마 다방, 직방보단 덜했습니다.
대부분의 집들이 존재했고 부동산분들도 친절하게 대하셨습니다.
하지만 함정은 존재하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허위매물)
저 역시 네이버부동산을 이용해서 집을 구하게 되었습니다.
매물을 웹으로 확인하고 전화를 건뒤 다음날 바로 집을 보러 갔습니다.
생각보단 괜찮은 집이였어서 바로 가계약을 건다고 했으나
집주인분께서 가계약을 진행하지않고 믿을테니
다음주 월요일까지 확실히 정했으면 답을 달라고 하셨습니다.
집 선택시 CHECKLIST!
1) 물, 수압체크
2) 세탁기 상태확인
3) 벽지, 장판상태확인
4) 가스레인지 확인
5) 싱크대 밑 수도관 연결확인
6) 화장실 변기 확인(휴지뭉쳐서 물내려보기)
7) 화장실 물이 하수구로 잘 빠지는지 확인
8) 보일러 확인
9) 냉장고 확인
10) 채광확인 (햇빛이 들어오는게 무조건 좋다고 합니다.)
!실제로 저는 전부 체크를 못했습니다...!
!저는 본가에서 처음 나오는 사람으로써 집을 실제로 봐야한다는 말이 이해가 안갔습니다.!
!하지만 사진으로 보는것이랑은 전혀 다르기때문에 무조건 부동산중개업자랑 날짜를 정하고!
!집을 보고 정해야합니다.!
세번째
은행방문
월요일까지 답을달라는 얘기를 듣고 집보는 당일이 금요일저녁이었기 때문에
다음주 월요일날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하다는 은행들중
집동네에 IBK기업은행을 방문했습니다.
제가 상담했던분은 다행히도 해당상품을 잘 알고계셔서 대출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저는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을 80%로 진행했습니다.
서류를 내고 10분정도를 기다리니 가능할거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이게 가심사의 역할이었던거 같습니다.
그리고 다시 부동산을 방문해서 전세계약서를 작성했습니다. (1억2천만원의 10%, 1,200만원 송금)
전세계약시 특약사항으로 전세자금대출이 안될경우 계약금을 환불받아야 한다는 조항을 꼭 넣어주세요.
저는 빠져있길래 다시 넣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전 계약시에도 걸렸던부분이 낡은 세탁기말곤 걱정될께 없어서 혹시나하고
물어봤더니 세탁기 교체는 어렵다고 약간의 화를 내면서 말씀해주셔서 ㅎㅎ 당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음날 등기소를 방문해서 확정일자(600원 수수료)를 받고 다시 은행을 방문해서
전세계약서를 보여주고 대출심사를 진행했습니다.
그 다음날 바로 주택도시기금에서 전세계약이 무리없이 진행될 적격판정을 받아서 부동산에게 공유를 했습니다.
그 다음은 입주일자에 나머지 잔금 1,200만원을 송금하는것과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추가로 은행에서 이자납입통장, 납입일 등을 정하라고 하기때문에 미리 선택하고 가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필요서류
개인
1)주민등록등본 > 동사무소발급
2)주민등록초본 > 동사무소발급
3)신분증
4)가족관계증명서 > efamily.scourt.go.kr
5)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minwon.nhis.or.kr
6)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이력 안내서 >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B49000100050
회사
1)사업자등록증
2)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3)주업종코드 확인자료
4)재직증명서
부동산
1)건축물 등기부등본
!서류들은 발급한 기준 한달내에만 유효하니 빠르게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
마지막
자 그래서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어느정도의 비용이 발생하는가?
나머지 짜투리금액이 어느정도 발생되는지 궁금하실것 같습니다.
전 생각보다 이런정보들을 찾지못해서 작성해봅니다.
기본
1) 보증료 86,100원 > 기업은행에서 회사방문 실사, 집주인과 은행원들 만남비용
2) 인지세 35,000 원 > 기업은행에서 절반부담해서.. 원래는 70,000원
3) 송금수수료 3,000원 > 기업은행에서 대출금액을 집주인에게 송금시 발생
4) 부동산 중개수수료
정리
필요한 서류를 모두 준비한다.
매일 모든시간을 집검색하고 실제로 방문한다.(가장많은 시간필요)
선택했다면 빠른시간내에 은행을 방문해 대출진행
4/26일 입주를 완료했습니다.
당일날 부동산에가서 집주인에게 마지막 잔금(1,200만원)을 치뤘습니다.
그다음 부동산 수수료를 계산했습니다.(계좌이체)
그리고나서 청소를 진행했습니다.
어머니와 동생이 도와주었습니다..
입주청소를 부르려고했으나 생각보다 높은가격(22만원)때문에 부르진못하고
도움을 받았네요.
감사합니다.!